| 
 모바일 신분증, 안전할까? 
 모바일 신분증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점차 우리 일상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하나로 간편하게 신원 인증이 가능한 편리함 덕분에 모바일 신분증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여러 차례 해킹사고로 인해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 행정안전부에서는 공지사항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모바일 신분증은 과연 해킹 위험으로부터 안전할까요? 모바일 신분증이 어떻게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보안사고를 예방하고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 
| 모바일 신분증의 개념 
 - 개인 스마트폰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신분증  - 온라인 환경(ex.정부24), 오프라인(ex. 은행, 주민센터)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인증 방식  
 모바일 신분증의 장점  
 - 기존 신분증과 달리 필요한 정보만을 골라서 제공 가능 - QR코드 스캔 활용한 신원 검증 방식으로 위조 및 악용이 불가능  | 이용자 수 / 발급 현황  
 모바일 신분증은 2022년 7월부터 발급을 시작하여 2024년 12월까지 약 2년 간 사용자 4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모바일 운전면허증의 발급 수가 많았는데, 이는 전체 운전면허증 소지자 전체 1,300만 명 중 30%에 해당하는 수로, 10명 중 3명이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사용하는 셈입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2025년 2월부터 점차 전국으로 확대 시행되었으며 아직까지 모바일 주민등록증에 대해 집계된 자료가 없으나 공무원증, 면허증 등의 사례를 미루어 보았을 때 긍정적인 피드백이 예상됩니다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등을 포함한 수치 | 
| 
 모바일 신분증이 안전한 이유 
 1. APP내 기본 기능 
- 기본적으로 앱 실행 시 생체인증(지문 또는 안면인식) 필요  - 기기 분실 시 도난분실신고 후 앱 잠금상태로 자동 전환 
- 개인정보가 모두 노출되었던 기존 신분증과 달리 QR코드만 표시되어 불필요한 개인정보 노출 없음 
- 30초마다 화면이 초기화되어 다른 기기로 사진을 찍어도 무효화 
 
2.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정보가 기록된 원장을 공유 네트웍스에 분산하여 공동으로 관리하는 기술  - 대표적인 예 : 블록체인  - 탈중앙화 : 중앙 서버 없이 분산 관리되어 단일 장애 위험 ↓  - 각 서비스 별로 개인정보를 반복 저장 불필요, 해킹 위험 분산 
 |